반응형

WEB 8

[express] Node.js 시작하기

1. 우선 Node.js를 설치한다 2.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프로젝트 초기설정을 해준다 npm init 3. npm을 이용해 express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express --save 여기에서 --save는 글로벌하게 설치한다는 의미 4. 그리고 웹에 관련된 패키지들도 설치해준다 $ npm install body-parser --save $ npm install cookie-parser --save $ npm install multer --save 5. 서버 시작 명령어 $ node [js 파일 이름]

WEB/Node.js 2023.03.17

[Flask] 설치 및 기본 세팅

1. 가상환경 실행 명령 $ source venv/bin/activate 혹시 가상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조하자 2020.09.08 - [AI/Tensorflow] - [Tensorflow] virtualenv을 이용한 환경 구축 2. Flask 설치 명령어 (venv) $ pip3 install flask 3. 만들어둔 html파일 실행되게 설정하기 1) 폴더 구성 static폴더에는 주로 css 파일, font 파일, 이미지 등을 넣어서 보관해 관리하면 좋다 templates 폴더에 기본 페이지인 index.html을 넣는다 * templates 이름의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html 파일들을 넣어야 정상적으로 실행됨! 2) app.py 예시코드 from flask impor..

WEB/Python 2023.02.05

[Django] 게시판 구현하기

1. 우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2. settings.py에 board를 추가해준다. tree로 확인해보면 board라는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Post라는 클래스로 폼으로 입력받고 싶은 값들을 정의한다. 4. admin.py에 작성한 것들을 추가한다. 5. 마이그레이션을 해준다. (마이그레이션은 변경된 값들을 장고에 반영해주는 것!) 6. 그리고 서버를 다시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EB/Python 2020.08.20

[Django] 초기 설치 및 실행

1. django를 설치한다. 2.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3. 트리 형태로 생성된 파일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4. testProject(지정한 프로젝트 이름) 디렉토리 안에 있는 settings.py에서 ALLOWED_HOSTS를 찾아서 원하는 ip로 변경한다. 5. manage.py가 있는 디렉토리로 돌아가서 서버를 실행시킨다. 6. 로컬에서 해당 [ip:포트]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그럼 서버 실행 성공!! 7. Ctrl+c를 눌러서 종료하고, 이제 관리자 계정을 만들 차례이다. python3 manage.py migrate를 입력한다. 8. superuser을 생성한다. 9. 아까와 동일하게 서버를 구동시키고, http://[IP주소]:[포트]/admin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WEB/Python 2020.08.20

[MY SQL] 게시판 만들기 _ table 생성하기

1. 테이블 만들기 형식 create table [table_name] ( [column_name] [column형식], [column_name] [column형식], ... primary key (column_name) ); 예제 * time은 현재 시간을 자동적으로 저장해주는 칼럼이다. 위처럼 입력하면 현재 시간을 자동으로 저장해준다. 2. 테이블 생성 후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 1) 자동 증가 속성 추가 alter table [table_name] modify [column_name] int not null auto_increment;

WEB/My SQL 2019.07.17

[AWS EC2] 아마존 웹서버를 이용한 무료 웹서버 구축하기 (2)

1. Putty 설치하기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2. 키파일 확장자 변경 아까 다운로드하였던 .pem확장자 키파일을 .ppk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이다. 위에서 Putty를 설치하면서 puttygen이 같이 설치되었을 것인데 이를 사용하면 된다. 1) Load를 클릭하여 아까 다운 받았던 .pem파일을 선택하고 Save primary key를 눌러준다. 2) Host Name에는 [user_name@public_DNS]를 입력한다. 난 ubuntu를 설치했으므로 user_name은 ubuntu이다. (아래의 문서 링크 참조) 그리고 포트가 22번인지 확인해준다. **여기에서 이전 포스트에서 강조했던 public_DNS..

[AWS EC2] 아마존 웹서버를 이용한 무료 웹서버 구축하기 (1)

1. 회원 가입하기 AWS 사이트로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한다. (1달러가 결제된다는 점..) https://aws.amazon.com/ko/ 2. EC2 서비스 접속 및 시작 1) EC2 서비스에 접속한다. 2) 화면에 보이는 배너 속 시작하기를 누른다. 3. 인스턴스 만들기 1) 우선 지역을 서울로 설정해준다. 2) 인스턴스 생성을 눌러 인스턴스를 만든다. 3) 많은 것 중에 난 ubuntu를 선택했다. 버전도 최신을 해버리면 오류가 날 수 있으므로 한 단계 낮은 걸로 선택했다. 4) 유형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아래 검토 및 시작 버튼을 누른다. 5) 후에 키 페어 생성 및 기존 키 페어 사용이 나오는데 나 같은 경우에는 처음 하는 거라 새로운 키를 생성하였고, (이름은 아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