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ular] 튜토리얼 1.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ng new [프로젝트 이름] 2. 새로운 컴포넌트를 만드는 명령어 ng g c [component name]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면 그 이름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만들어줌 3. 새로운 컴포넌트를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 app.component.html을 모두 지우고 태그를 입력해준다 4. 시작 명령어 ng serve --open 카테고리 없음 2023.03.23
[express] Node.js 시작하기 1. 우선 Node.js를 설치한다 2.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프로젝트 초기설정을 해준다 npm init 3. npm을 이용해 express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express --save 여기에서 --save는 글로벌하게 설치한다는 의미 4. 그리고 웹에 관련된 패키지들도 설치해준다 $ npm install body-parser --save $ npm install cookie-parser --save $ npm install multer --save 5. 서버 시작 명령어 $ node [js 파일 이름] WEB/Node.js 2023.03.17
[Flask] 설치 및 기본 세팅 1. 가상환경 실행 명령 $ source venv/bin/activate 혹시 가상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조하자 2020.09.08 - [AI/Tensorflow] - [Tensorflow] virtualenv을 이용한 환경 구축 2. Flask 설치 명령어 (venv) $ pip3 install flask 3. 만들어둔 html파일 실행되게 설정하기 1) 폴더 구성 static폴더에는 주로 css 파일, font 파일, 이미지 등을 넣어서 보관해 관리하면 좋다 templates 폴더에 기본 페이지인 index.html을 넣는다 * templates 이름의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html 파일들을 넣어야 정상적으로 실행됨! 2) app.py 예시코드 from flask impor.. WEB/Python 2023.02.05
[Python] Linked-List 구현하기 1. Linked-List 클래스 선언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0, next=None): self.val = val self.next = next 2. Linked-List 객체 선언 list = Node() 3. Linked-List length 측정 while list.next != None: list = list.next len+=1 4. 특정 길이(loop)만큼 Linked-List에 새로운 원소 추가하기 for i in range(loop): #빈 Node 한개 생성 buf = Node() buf.value = 0 #채운 노드(buf)를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다음으로 가리키기 current.next = buf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 .. 코딩테스트준비/Python 2023.01.28
[Python] 함수 및 이것저것 아카이브 1. 삼항연산자 len1과 len2중 더 작은 수를 num 변수에 저장하기 num = len1 if len1 ascii 변환해주는 함수: ord()) if ord(i) 57: print("i is not a numerical value") 코딩테스트준비/Python 2023.01.28
[Github] Private Repository 클론 방법 깃허브에서 Private으로 설정한 repository를 클론하려고 시도하면 오류가 난다. 이럴때 SSH key를 이용해 클론을 해주어야 한다. 1. SSH key쌍 생성하기 2. SSH 공개키 찾고 복사하기 위에서 ssh key쌍이 저장된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공개키를 cat 명령어로 확인하고 복사한다. 3. 공개키 git에 등록하기 자신의 프로필에서 settings를 클릭하고 SSH Keys에 New SSH Key를 클릭한다. 위의 화면처럼 등록 완료되면 성공! 4. 클론하기 private repository에서 ssh를 클릭하고 복사한다. 그리고 터미널에서 git clone [복사한 내용]을 입력하고 yes를 입력하면 클론 성공! Github 2023.01.11
[Git] 원격 저장소 기초 명령어 정리 원격 저장소 브랜치 목록 가져오기 git barnch -r 원격 저장소 브랜치로 전환하기 git checkout -t [브랜치 경로] 로컬에서 브랜치 생성 git branch basic [브랜치 이름] 브랜치 전환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변경된 파일 추가 git add [파일이름] 커밋 메시지 작성 git commit -m "메시지 입력" 푸시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Github 2022.10.13
[tensorflow] 맥에서 Jupyter notebook 설치하기 및 시작하기 1. 우선 로컬에다가 jupyter을 설치한다. pip3 install jupyter 2.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고 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mkdir [디렉토리 이름] cd [디렉토리 이름] 3. 가상 환경을 만든다. virtualenv venv 4. 가상 환경을 실행시킨다. source venv/bin/activate 5. 주피터를 실행시킨다. jupyter notebook * 만약 tensorflow 모듈을 설치하고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보고 싶으면? 6. 우선 jupyter을 중지시킨다. terminal에서 [Ctrl+C]를 누르고, y를 눌러서 종료시킨다. 7. tensorflow를 설치한다 pip3 install tensorflow 8. 다시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시키고, 새로운 파일.. AI/Tensorflow 2020.09.11
[Django] 게시판 구현하기 1. 우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2. settings.py에 board를 추가해준다. tree로 확인해보면 board라는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Post라는 클래스로 폼으로 입력받고 싶은 값들을 정의한다. 4. admin.py에 작성한 것들을 추가한다. 5. 마이그레이션을 해준다. (마이그레이션은 변경된 값들을 장고에 반영해주는 것!) 6. 그리고 서버를 다시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EB/Python 2020.08.20
[Django] 초기 설치 및 실행 1. django를 설치한다. 2.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3. 트리 형태로 생성된 파일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4. testProject(지정한 프로젝트 이름) 디렉토리 안에 있는 settings.py에서 ALLOWED_HOSTS를 찾아서 원하는 ip로 변경한다. 5. manage.py가 있는 디렉토리로 돌아가서 서버를 실행시킨다. 6. 로컬에서 해당 [ip:포트]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그럼 서버 실행 성공!! 7. Ctrl+c를 눌러서 종료하고, 이제 관리자 계정을 만들 차례이다. python3 manage.py migrate를 입력한다. 8. superuser을 생성한다. 9. 아까와 동일하게 서버를 구동시키고, http://[IP주소]:[포트]/admin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WEB/Python 2020.08.20